본문 바로가기

개발3

개발측면 - 생산 문제 에스컬레이션 개발자 측면에서 '프로덕션 이슈 에스컬레이션(Production Issues Escalation)'은 실제 운영 환경에서 발생한 문제나 버그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해결하기 위한 절차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칠 수 있습니다.문제 식별: 운영 환경에서 발생한 이슈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확인합니다. 모니터링 시스템, 로그 분석, 사용자 피드백 등을 통해 문제를 파악합니다.초기 대응: 문제의 심각성과 영향도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초기 대응 조치를 취합니다. 예를 들어 일시적인 워크어라운드나 시스템 종료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에스컬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수준의 지원을 요청합니다. 일반적으로 개발팀, 운영팀, 제품 관리자 등 관련 부서와 협력하여 진행됩니다.문제 분석: 이.. 2025. 1. 7.
CTO & Tech leader 조그마한 글로벌 스타트업에서 CTO 역을 하고 있다. CTO지만 테크리더도 하고, 개발도 하고, 보안도 하고, 데브옵스도 하고, 데이터도 하고 있다. 스타트업이니까 ^^ 내가 생각하는 각 직책의 업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간단히 정의하면 CTO는 "사업과 기술을 고려해서 결정을 내리는 역할"이고, 테크리더는 "기술적으로 고민하고 팀과 같이하며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는 개발자"이다 CTO 란? 관리자 업무만 한다면 CTO가 아니다, 부서장, 연구소장 등이 맞는 직책일 것이다. CTO라면 기본적으로, Tech 커리어에서 벗어나지 않고 꾸준히 개발자로 성장해왔어야 하고, 아키텍트 업무도 꾸준히 해서 최고의 아키텍트가 되어 있어야한다. 전략을 결정하고, 비지니스에 기술적인 자신의 관점을 제시해야한다. 무엇을 구축.. 2023. 1. 27.
코딩 도중 인터페이스/디자인 변경하면 개발소요시간이 25%~100%까지 지연 기획상에서 좀 더 고객과 소통을 잘해서 제대로된 기획을 하면 개발 중간에 수정을 과도하게 안해도 될까?아직까지 그래본적이 없어서... 해외는 어떨까... 마찬가지일까...아래와 같이 일정이 딜레이된다는 걸 기획자도 아는건지...개발자에서 기획으로 넘어간 사람들도 많을텐데.. 코니는 340명이 넘는 개발자와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앱 개발에 있어서의 애로사항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전체 응답자의 50%가 넘는 이들이 앱의 기능 문제보다는 UX 문제 때문에 프로젝트 담당자나 의뢰인으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코니의 수석 부사장 데이브 셔크는 "앱 개발 과정에서 모바일 앱 디자인은 종종 간과되곤 한다. 하지만 정작 문제가 되는 것은 전반적인 디자인 문제 및 사용자 경험의 부적절한 설계인 것으.. 2014. 12. 23.